20여년간 외식전문기업에서 디지털전화과 혁신에 관한 일을 하면서 경험하게 된 다양한 이야기를 나만의 방식으로 풀어 내고자 한다. 외식기업 뿐 아니라 소상공인 모두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이제는 반드시 필요 한 것이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며 우리의 변화가 필요 하다.
2017년 6월 6일 화요일
[Book #40] 국가란 무엇인가 - 유시민
국가란 무엇인가
2014년을 잊지 못한다. 그리고 지금 몇년이 흘러 지났을까. 살면서 한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다. "국가", "헌법" 등등 말이다. 그거 뭐 이제서야 관심이 가는 거냐 말한다면 참으로 민망하기 그지 없을 뿐이다. 반성하고 또 생각하고 나 역시 사회가 이렇게 이상하게 변해 가는데에 충분하리 만큼 동조 하지 않았나 하는 죄책감도 느껴 본다. 이 책은 사실 JTBC에서 시작했던 "차이나는 클라스"란 프로그램을 보고 나서 구입하게 되었다. "민주주의"에 대한 이야기들에 대해서 유시민 작가의 이야기들 그리고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듣고 있다 보니 부족함의 갈구? 라고 할까. 무엇인가 짤막히 요약한것은 없을까? 하는 생각들에 들어 맞는 책이 딱하고 서점에 있지 않겠나. 보다 보니 개정신판이다. 앞머리 부분에 이미 구입했던 독자들이라면 크게 달라진게 없다니 구입할 필요 없다고 말하는 작가가 왠지 출판사 사장의 입장이 되어 이래도 되나 싶었다.
이전 시대, 세대의 철학자 또는 정치가들의 사상과 이야기들로 국가란 무엇인가. 민주주의란 무엇으로 부터 시작 되었는 가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며 유시민 작가의 생각들을 피력하지만 강요하지 않는다. 읽는 내내 스스로 좀더 생각을 해야만 하게 하는 책이어서 불편하면서 참으로 좋았다는 말을 남기고 싶다.
세월호가 바다에 가라 앉으면서 가슴 아픈 일들의 연속 이었던 것 같다. 국가의 시스템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고 최고 책임자라는 사람과 그 주변의 고위직 간부들은 인간으로 생각해야 할 것들을 생각하지 못했다. 대부분의 국민은 책임을 물어 길거리로 나왔고 촛불을 들고 우리 손으로 끌어 내렸다. 몇개 월 전 결혼식 때문에 시청앞으로 갔던 아찔한 기억도 잊지 않고 있다. 함께간 아이들의 가슴에 붙여 있던 노란색 리본은 다른 이들의 눈엔 주적이 되어 버린 사회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해가 되기도 하면서 민주주란 것이 국가란 것이 가지고 있는 원리와 우리가 변화해 가야 할 국가는 사회는 조직은 그리고 한 개인은 어떻게 달라 지는가에 대해서 고민해보는 시간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사실 니버의 책을 과거에 읽으면서 참으로 많은걸 이해하기 어렵기도 했지만 조직에 대해서 협소하게 적용을 하다 보니 좀더 이해가 쉬웠다. 하나 하나 각자의 모든 생각들이 조직을 만들고 사회를 만들게 되므로 서 그 반대가 되는 적 이라는 표현 보다는 이해관계가 다른 조직과 사회에 대해서 도적 적이지 못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말이다. 스스로 던져보는 질문들이 스스로를 더 성장시켜 주는 것은 아닐까 생각이 든다. 뉴스에 나오는 가십거리에 관심 갔기 보다는 나를 위한 또 다음 세대를 위해서 우리가 변화를 어떻게 해 나갈 것 인가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보는 것 그리고 그 변화를 위하여 직접 참여 하는 것이 민주주의 시민으로 써 해야 할 일 아닐까.
유시민 작가의 글을 글 내용이 많아도 간단 명료 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듯 하다. 읽다 보면 빠져 들게 된다. 이것은 개인적인 취향 . 주제와 상관 없이. 유 작가의 책이 참으로 맘에 단다.
목차 정보
1. 국가란 무엇인가 1 - 합법적 폭력
2.국가란 무엇인가 2 - 공공재 공급자
3.국가란 무엇인가 3 - 계급지배의 도구
4. 누가 다스려야 하는가
5. 애국심은 고귀한 감정인가
6. 혁명이냐 개량이냐
7. 진보정치란 무엇인가
8. 국가의 도덕적 이상은 무엇인가?
9. 정치인은 어떤 도덕법을 따라야 하는가.
* 연관되어 다시 꺼내 읽은 책들도 추천 드린다.
월든 - 핸리 데이비드 소로
자유론 - 존 스튜어트 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 니버
행복론 - 칸트
정의란 무엇인가 - 마이클 센델
[Book #39] 나를 위해 일한다는 것 - 기시미 이치로
나를 위해 일한다는 것
우리에게 일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생각은 어찌 보면 일을 하지 못하게 될 때를 생각해서 다시금 되뇌어야 하는 것 같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아니 일이란 것을 통해서 무엇 인가를 얻는다면 그것이 살기 위해 필요한 돈이라면 더더욱이나 부모나 조상이 물려준 어마무시한 돈이 있지 않고서는 누구나 일을 하게 되고 또 그것을 통하여 살아 간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 이지 않을까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 나 역시도 말이다. 자주 묻는 질문이다. 스스로에게나 사무실에서 마주치는 나이 후배 동료들 에게나 " 재미 있니? 적응할 만 하니? " 대부분 비슷한 대답이다. "해야죠. 네.. 괜찮습니다." 뭐 물론 대답보다는 알수 없는 미소들이 돌아 오는 경우가 허다 하다.
일이란것을 살아 간다는 것과 뜻을 같이 한다면 그리고 우리가 그 안에서 재미를 찾아가지 못한다면 아니 대입해 나가지 못한다면 그로 인해 우리가 순간순간을 불행이라는 기억으로 남게 된다면 우리에게 돌려주는 돈이 쌓아가는 축적되는 즐거움은 즐겁다 말할 수 없는 것 아닐까.
가볍게 읽어 나가길 권한다. 이것은 그 누군가에게 답을 지워주는것도 또한 아니지만 그렇다고 쓸모 없는 이야기들도 아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나 역시 느끼게 되는 공감하게 되는 이야기가 참으로 많다. 좀더 우리가 일이라는 공간에서 좀 떨어져서 느껴보고 생각해보고 하는 것이 필요 하지 않을까 싶다. 인정욕구에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또 거꾸로 가족을 돌보는 일에 너무 치우친 나머지 일에는 부족한 친구들을 보자 보면 무엇이 답인가? 나는 무엇이 맞다 라고 해줘야 하지 라는 무의미한 생각에 빠지곤 한다.
몇일 전 함께하는 팀 동료들에게 한 잔소리(?_) 같은 이야기를 이곳에 덧붙이자면 이렇다. 내가 생각하기에 일이라는 것과 자신의 삶이라는 것에 명확한 구분을 짓기가 참으로 어려운것 같다. 아침 출근 9시 퇴근 6시 라는 것은 근로 계약서에 포괄적으로 표현되어 쓰여 있긴 하지만 온전히 그 시간을 어떻게 쓸 것 인가는 본인 스스로에게 달렸다. 그 안에서 개인과 조직을 명확히 분리 할 수 있을까? 또는 퇴근 후 사는것을 더 들여다 보면 장애나 문의 또는 더러 여러가지 일들이 발생하는 직업의 특수성을 고려 한다면 그 또한 명확히 나누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명확히 나누는 것에 목표를 두지 않는것이 좋겠다고 나의 생각을 공유 하였다. 대신 내가 일하고 살아가는데 무엇이 더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는지 잊지 말도록 그리고 일이란 것이 가져다 부는 것은 월에 들어 오는 월급 뿐 아니라 우리가 함께 꾸려가는 삶의 한 부분을 공헌하고 있고 나 스스로를 더 성장시키기 위한 순간 순간이라는 것을 잊지 않길 바란다고 말하는 것이 두서가 없다. 말하고 보니 또 아이들에게 잔소리 했구나 싶었다.
요즘들어 나에게 일이란 무엇 인가에 대한 생각을 참 많이 하게 되는 순간 들이다. 이 책은 읽어 낸지가 좀 지났지만 문득 제목 만으로도 스스로에게 생각의 주제를 던져 준다. 일 = 돈 이었나. 아니면 일은 내 삶을 풍족하게 또 내 삶을 가치 있게 생각하는 더 큰 의미가 있었나 말이다. 무엇을 해야 하는것 인가에 많은 시간을 투자 했다면 앞으로의 시간을 무엇보다는 어떻게 살아 낼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겠다.
직장 초년생 이거나 나와 같이 제 2의 삶에 대해서 빠른 고민을 하고 있는 분들 이라면 추천하고 싶다. 우리 함께 그 어려운 주제로 빠져들어 보자 그리고 그 것이 고민에서 끝나지 않고 행동으로 이어지고 그것이 나의 삶을 그리고 우리의 삶을 더 윤택하게 만들어 주길 바란다.
2017년 5월 23일 화요일
[Oracle] APEX(Applcation Express) Install on CentOS 6.5
1. Oracle Web Site apex install : File Download
[root@oracle ~] wget http://download.oracle.com/otn/java/appexpress/apex_5.1.1.zip
2. unzip
[root@oracle ~] unzip apex_5.1.1.zip
create folder apex by this command
3. sql file execute
[root@oracle ~] cd apex
# sqlplus sys dba login
[root@oracle apex] sqlplus '/as sysdba'
SQL> !pwd
/home/oracle/apex
/*
Create Table Space
CREATE SMALLFILE TABLESPACE TBS_APEX
DATAFILE
'/home/oracle/app/oradata/TSUN/TBS_APEX' SIZE 1073741824 AUTOEXTEND ON NEXT 16384 MAXSIZE 34359721984
BLOCKSIZE 8192
DEFAULT NOCOMPRESS
ONLINE
SEGMENT SPACE MANAGEMENT AUTO
EXTENT MANAGEMENT LOCAL AUTOALLOCATE;
*/
/*@apexins.sql tablespace_apex tablespace_files tablespace_temp images */
SQL> @apexins.sql TBS_APEX TBS_APEX TEMP /images/
.......
** Command Result - Create Schema
APEX_PUBLIC_USER
APEX_050000
FLOWS_FILES
SQL> @apxchpwd.sql
==========================================================
This script can be used to change the password of an Application Express
instance administrator. If the user does not yet exist, a user record will be
created.
==========================================================
Enter the administrator's username [ADMIN]
User "ADMIN" does not yet exist and will be created.
Elapsed: 00:00:00.00
Enter ADMIN's email [ADMIN]
Enter ADMIN's password []
Created instance administrator ADMIN
Elapsed: 00:00:00.23
/* User Modify */
SQL> alter user APEX_PUBLIC_USER account unlock;
SQL> alter user APEX_PUBLIC_USER identified by "apex password";
SQL> alter profile DEFAULT limit PASSWORD_FILE_TIME unlimited;
/* APEX RESTful Service Database Schema Install */
SQL> @apex_rest_config.sql
4. Oracle REST Data Service (ORDS) Install - Stanalone Mode - File Download
[root@oracle ~] wget http://download.oracle.com/otn/java/ords/ords.3.0.9.348.07.16.zip
[root@oracle ~] unzip ords.3.0.9.348.07.16.zip
/* ords install & Setting */
[root@oracle ~] java -jar ords.war install advanced
이 Oracle REST Data Services 인스턴스는 아직 구성되지 않았습니다.
다음 프롬프트에 값을 입력하십시오.
구성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를 입력하십시오.: /home/public_html/dbtool/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localhost]: ***.***.***.***
데이터베이스 수신 포트를 입력하십시오. [1521]: ****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이름을 지정하려면 1을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 SID를 지정하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2
데이터베이스 SID를 입력하십시오. [xe]: ORATEST
Oracle REST Data Services 스키마를 확인/설치하려면 1을 입력하고, 이 단계를 건너 뛰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1
ORDS_PUBLIC_USER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New Password
비밀번호 확인:
Oracle REST Data Services 스키마를 확인하려면 SYSDBA 권한으로 로그인하십시오. 설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설치를 확인하려면 SYSDBA 권한을 보유한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SYS]:
SYS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비밀번호 확인:
Oracle REST Data Services 스키마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생성됩니다.
ORDS_METADATA에 대한 기본 테이블스페이스을(를) 입력하십시오. [SYSAUX]:TBS_APEX
ORDS_METADATA에 대한 임시 테이블스페이스을(를) 입력하십시오. [TEMP]:
ORDS_PUBLIC_USER에 대한 기본 테이블스페이스을(를) 입력하십시오. [USERS]:TBS_APEX
ORDS_PUBLIC_USER에 대한 임시 테이블스페이스을(를) 입력하십시오. [TEMP]:
PL/SQL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려면 1을 입력하고, 이 단계를 건너 뛰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2
Application Express RESTful Services 데이터베이스 사용자(APEX_LISTENER, APEX_REST_PUBLIC_USER)에 대한 비밀번호를 지정하려면 1을 입력하고, 이 단계를 건너 뛰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
APEX_LISTENER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비밀번호 확인:
APEX_REST_PUBLIC_USER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비밀번호 확인:
독립형 모드를 시작하려면 1을 입력하고, 종료하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1
HTTP 포트를 입력하십시오. [8080]: 8081
5. image Folder copy or move
[root@oracle ~] mv /home/oracle/apex/images /home/oracle/dbtool//home/oracle/dbtool/ords/standalone/doc_root/
or comment
example ords folder
/home/oracle/dbtool/
/home/oracle/dbtool/ords/
/home/oracle/dbtool/ords/conf/
/home/oracle/dbtool/ords/standalone/
/home/oracle/dbtool/ords/standalone/doc_root/
/home/oracle/dbtool/ords/standalone/doc_root/images
[root@oracle ~] wget http://download.oracle.com/otn/java/appexpress/apex_5.1.1.zip
2. unzip
[root@oracle ~] unzip apex_5.1.1.zip
create folder apex by this command
3. sql file execute
[root@oracle ~] cd apex
# sqlplus sys dba login
[root@oracle apex] sqlplus '/as sysdba'
SQL> !pwd
/home/oracle/apex
/*
Create Table Space
CREATE SMALLFILE TABLESPACE TBS_APEX
DATAFILE
'/home/oracle/app/oradata/TSUN/TBS_APEX' SIZE 1073741824 AUTOEXTEND ON NEXT 16384 MAXSIZE 34359721984
BLOCKSIZE 8192
DEFAULT NOCOMPRESS
ONLINE
SEGMENT SPACE MANAGEMENT AUTO
EXTENT MANAGEMENT LOCAL AUTOALLOCATE;
*/
/*@apexins.sql tablespace_apex tablespace_files tablespace_temp images */
SQL> @apexins.sql TBS_APEX TBS_APEX TEMP /images/
.......
** Command Result - Create Schema
APEX_PUBLIC_USER
APEX_050000
FLOWS_FILES
SQL> @apxchpwd.sql
==========================================================
This script can be used to change the password of an Application Express
instance administrator. If the user does not yet exist, a user record will be
created.
==========================================================
Enter the administrator's username [ADMIN]
User "ADMIN" does not yet exist and will be created.
Elapsed: 00:00:00.00
Enter ADMIN's email [ADMIN]
Enter ADMIN's password []
Created instance administrator ADMIN
Elapsed: 00:00:00.23
/* User Modify */
SQL> alter user APEX_PUBLIC_USER account unlock;
SQL> alter user APEX_PUBLIC_USER identified by "apex password";
SQL> alter profile DEFAULT limit PASSWORD_FILE_TIME unlimited;
/* APEX RESTful Service Database Schema Install */
SQL> @apex_rest_config.sql
4. Oracle REST Data Service (ORDS) Install - Stanalone Mode - File Download
[root@oracle ~] wget http://download.oracle.com/otn/java/ords/ords.3.0.9.348.07.16.zip
[root@oracle ~] unzip ords.3.0.9.348.07.16.zip
/* ords install & Setting */
[root@oracle ~] java -jar ords.war install advanced
이 Oracle REST Data Services 인스턴스는 아직 구성되지 않았습니다.
다음 프롬프트에 값을 입력하십시오.
구성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를 입력하십시오.: /home/public_html/dbtool/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localhost]: ***.***.***.***
데이터베이스 수신 포트를 입력하십시오. [1521]: ****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이름을 지정하려면 1을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 SID를 지정하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2
데이터베이스 SID를 입력하십시오. [xe]: ORATEST
Oracle REST Data Services 스키마를 확인/설치하려면 1을 입력하고, 이 단계를 건너 뛰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1
ORDS_PUBLIC_USER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New Password
비밀번호 확인:
Oracle REST Data Services 스키마를 확인하려면 SYSDBA 권한으로 로그인하십시오. 설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설치를 확인하려면 SYSDBA 권한을 보유한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SYS]:
SYS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비밀번호 확인:
Oracle REST Data Services 스키마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생성됩니다.
ORDS_METADATA에 대한 기본 테이블스페이스을(를) 입력하십시오. [SYSAUX]:TBS_APEX
ORDS_METADATA에 대한 임시 테이블스페이스을(를) 입력하십시오. [TEMP]:
ORDS_PUBLIC_USER에 대한 기본 테이블스페이스을(를) 입력하십시오. [USERS]:TBS_APEX
ORDS_PUBLIC_USER에 대한 임시 테이블스페이스을(를) 입력하십시오. [TEMP]:
PL/SQL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려면 1을 입력하고, 이 단계를 건너 뛰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2
Application Express RESTful Services 데이터베이스 사용자(APEX_LISTENER, APEX_REST_PUBLIC_USER)에 대한 비밀번호를 지정하려면 1을 입력하고, 이 단계를 건너 뛰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
APEX_LISTENER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비밀번호 확인:
APEX_REST_PUBLIC_USER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비밀번호 확인:
독립형 모드를 시작하려면 1을 입력하고, 종료하려면 2를 입력하십시오. [1]:1
HTTP 포트를 입력하십시오. [8080]: 8081
5. image Folder copy or move
[root@oracle ~] mv /home/oracle/apex/images /home/oracle/dbtool//home/oracle/dbtool/ords/standalone/doc_root/
or comment
example ords folder
/home/oracle/dbtool/
/home/oracle/dbtool/ords/
/home/oracle/dbtool/ords/conf/
/home/oracle/dbtool/ords/standalone/
/home/oracle/dbtool/ords/standalone/doc_root/
/home/oracle/dbtool/ords/standalone/doc_root/images
2017년 5월 19일 금요일
[Oracle DV] Oracle Data Visualization install error
If Oracle Data Visualization install error message
" The System cannot find the path specified. "
Press any key to continue ...
and if Windows 7 is installed, try the following.
1. Start Command Prompt (Administrator privileges)
2. Manual installation
C:\Program Files\Oracle Data Visualization Desktop\>install_advanced_analytics.cmd _payload_ C:\Program Files\Oracle Data Visualization Desktop
" The System cannot find the path specified. "
Press any key to continue ...
and if Windows 7 is installed, try the following.
1. Start Command Prompt (Administrator privileges)
2. Manual installation
C:\Program Files\Oracle Data Visualization Desktop\>install_advanced_analytics.cmd _payload_ C:\Program Files\Oracle Data Visualization Desktop
2017년 5월 16일 화요일
[전산실 이야기] 신입사원 교육을 하면서
인원을 충원하게 되면 금방 무엇인가 일을 줄여 줄수도 없을 뿐 더라 어찌 보면 해야 하는 일들에 추가로 교육이라는 부분이 항상 따라 들어 간다. 잠깐 내 시간이 아깝다고 생각 하거나 본인이 알아서 해야 할 일이야 라고 순간을 보내 버린다면 앞으로의 생활이 더 어려워 질것임에는 분명하다.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 할까. 이것이 답이라고 생각지도 않지만 우리 조직내에서 필요로 하는 것들을 해야 하는 것과 개인적으로 이러한 것들을 가지고 있다면 좀더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에 대한 생각들을 정리 하다 보니 이러한 커리큘럼으로 공부를 시켜 보자 라는 생각에 적다 보니 내가 무슨짓을 한것인가 싶기도 하고 그런데 지금 우린 이미 이러한 일들을 하고 있다고 보니 여러가지 생각이 들게 되긴 한다.
대학교 졸업한지 15년이상이 지났다. 우리가 그때 배웠던 그 것들은 지금의 책자들의 어느 과정 한두줄의 내용으로 끝나는 것들도 있고 자세한 이야기로 아직도 풀어 씌여지는 것들이 있다. 그런데 아예 설명이 되지 않는 것들이 많다는 것은 신입을 가르치다 보니 아쉽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 무슨 중요하겠나 하겠지만 간단한 응용프로그램을 하나 만들더라도 원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보니 확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나타나곤 한다.
제목은 거창하게 썼는데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할까 더 많은 고민을 해야 하겠지란 생각을 하게 된다. 계속 적으로 수정해나가고 변화해 가면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다시 한번 배워가는 그 과정이 될것 같아 조금은 기대가 되기도 하고 조금은 망설여지기도 한다. 그런 순간 순간들이 모여서 새롭게 태어나는 것은 아닐까 싶다.
그날 그 어느날 생각
2017년 5월 3일 수요일
[Python] Oracle Client Install & cx_Oracle Install on Mac
1. Download Instant Client - Oracle Web Site :
instantclient-basic-macos.x64-11.2.0.4.0.zip
instantclient-sdk-macos.x64-11.2.0.4.0.zip
instantclient-sqlplus-macos.x64-11.2.0.4.0.zip
Unzip and move to /Library/Oracle
1.1 .bash_profile Files Modify
export DYLD_LIBRARY_PATH="/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
export TNS_ADMIN="/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
export ORACLE_HOME="/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
export OCI_LIB="/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
export OCI_INCLUDE_DIR="/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sdk/include"
export PATH=$DYLD_LIBRARY_PATH:$PATH
2. Create symlink
$ cd /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
$ ln -s libclntsh.dylib.11.1 libclntsh.dylib
[ This step might not be needed ]
3. Copy files:
sudo cp /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sdk/include/*.h /usr/include/
sudo cp /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dylib /usr/lib
sudo cp /Library/Oracle/instantclient_11_2/sqlplus /usr/bin
If it needs root permission, sudo to root first.
Make sure you do this rather than sudo because you need to set the environment variable in the correct shell
if Mac OS - Operation not Permitted
Refenece - http://macnews.tistory.com/3408
4. Run pip install cx_Oracle
Installl Complete
2016년 12월 28일 수요일
[Book #38] 미움 받을 용기 2 - 를 읽었다.
아들러의 생각을 전해 듣는 철학자와 청년의 대화 속에서 많은걸 생각하게 하고 실천을 위한 뭔가 실질적인 나침판이 된다. 이해했느냐라기 보단 이제 그 첫발을 디딘 것에 감사 해야 할까.
묻는다 나는 지금 어떻게 그리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
생각한다. 지금까지 잘 해 왔는가? 그리고 나만 잘하면 되는것인가? 가족, 조직은?
행동한다. 일상적 삶에 찌들어 어찌되었든 국방부 시계든 민간인의 시계든 돌아 간다고
그렇다고 묻지도 생각하지도 행동하지도 않고 사는것은 잘 사는 것인가?
그 물음에 대한 답도 어느것이 맞는 말이고 어느것이 틀린 말이라고 말하기엔 잘 모를 하루 하루의 삶이지만 지금까지 내가 생각하고 살아온 그 하루 하루는 항상 묻고 생각하고 행동하라고 말하고 있으며 결국 그 것이 나 스스로의 자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스스로 일어 난다는 것은 스스로 의식주만을 해결하는 문제가 아닌 나를 알아가는 문제로 부터 시작한다는 것에 동감한다.
나를 알고 너를 알아가는 인간이해를 시작으로 한다. 우리가 우리를 아니 나를 이해 하는것이 쉽지많은 않다. 나는 지금까지 과거의 나의 행동과 말을 통해서 지금의 내가 있고 내 말이 있다고 생각했지만 돌이켜 보면 내가 했던 행동과 말들에 지금 나는 아니 항상 그 현재의 나는 새로운 의미를 그리고 남들에게 잘 보여지는 의미를 부여하여 스스로를 과대 평가하고 상대를 ( 주로 술자리에 있던 후배들이거나 부하직원들 이었겠지 ) 가르치듯.. 그것이 너의 영적인 성장이라는 양 말했는지도 모른다.
여하튼 나는 항상 교육의 틀 안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교육이란 것에 대한 주제와 범위는 내가 먹고 사는 문제의 지식에서 벗어나 내가 왜 존재하고 왜 살아가야 하며 어떻게 그 안에서 자립을 해나가는 것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은 아닌가 생각이든다.
난 항상 미움받을 용기는 갖고 있는가? - 현재로썬 그렇다.
아니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그러 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아니 그러하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다양한 채널의 블로그 작성으로 집중이 좀 안되기도 하고 나의 회사를 운영하고 관리 하다 보니 회사의 블로그로 작성 해보는 것은 어떤가 하고 하나로 옮겨 봅니다. (주)다이닝웨이브 - 블로그 바로가기
-
웹/앱 리뉴얼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내부에서 처리해야할 프로세스상 로직이 있었는데 오라클(데이터베이스) 단계에서 처리가 곤란하게 되어 외부서비스(웹)의 특정 URL/URI를 호출해야 되는 경우가 생겼다. 구글링으로 검색을 해도 상세히 설명 된 곳이 별...
-
# Reference URL - http://struts.apache.org/docs/tutorials.html 아래 문서는 내부 구성원을 위한 간략한 설정 및 설치를 위한 정보 공유에 목적이 있으며 IT의 구성 환경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
-
주로 윈도우에서 RStudio를 사용할 때는 잘 몰랐는데 이동성 때문에 Mac Ari/Book에서 사용하는 경우 한글 깨짐현상이 발생 하기도 한다. 이럴때 해야 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중에 내가 사용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우선은 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