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22일 금요일

[Book #25] 시를 잊은 그대에게 - 공대생의 가슴을 울린 시 강의 [정재찬]

<시를 잊은 그대에게>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정재찬 교수님의 강의를 담은 에세이 형식의 책이다.

문득 고등학교 때 국어 시간에 배우던 시들과 하나 둘씩 쌓여가던 책장의 시집들이 머리속에 떠 올랐다. 부재로 달려 있는 공대생의 가슴을 울린 시 강의란 말은 어쩌면 내가 공대생이었으며 그 때 나의 가슴을 다시 한번 울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어떤 갈망이었을 지도 모른다.

책을 덮고 난 지금 밀려오는 그 가슴속 깊은 곳의 따뜻함은 어쩌면 없어진 줄 알았던 그 알맹이가 내 가슴 속 깊은 곳에 남아 있었구나 하는 안도감과 함께 슬며시 올라 온다.

1년만의 책에 관한 글을 남기며...




** 가슴 뛰는 삶을 살고 있는가?

책 내용 중 발췌
"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키팅 선생은 말합니다. 의술, 법률, 사업, 기술, 이 모두 고귀한 일이고 생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이지만, 시, 아름다움, 낭만, 사랑, 이런 것들이야말로 우리가 살아가는 목적이라고. 듣기엔 꽤 멋진 말이었지만, 아등바등 살아도 모자란 판에 말이 그렇다는 거지 하면서 잊고 지냈을 겁니다. 그땐 다들 청춘이었으니까요. 허나 한 세월 살다 보면, 제법 잘 살아왔다고 여겼던 오만도, 남들처럼 그저 그렇게 살아왔다는 겸손도 문득 힘없이 무너져 내리고 마는 그런 날이 오게 마련입니다. 채울 틈조차 없이 살았던 내 삶의 헛헛한 빈틈 들이 마냥 단단한 줄만 알았던 내 삶의 성벽 들을 간단히 무너트리는 그런 날, 그때가 되면 누구나 허우룩 하게 묻곤 합니다. 사는 게 뭐 이러냐고, 그래요, 잊어서는 안 되는 거였습니다. 잊을 수 없는 것은 어차피 잊히지지 않는 법, 잊은 줄 알았다 가도 잊혔다 믿었다 가도, 그렁 그렁 고여 온 그리움들이 여민 가슴 틈새로 툭 터져 나오고, 그러면 그제야 비로소 인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시와 아름다움과 낭만과 사랑이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여야 한다는 것을." 

문득 문득 살다 보면 글애 사는 건 다 그런 거지 하면서 잊고 지내는 감정들이 있다. 그러한 감정들은 생각지도 못하게 스스로를 당황시키기도 한다. 생각하는 그 어떤 것에 너무 다가가 바라보고 살다 보면 그 주변에 있는 것들과 사람을 잊고 지내게 된다. 그 사람에는 나 자신의 모습도 포함하여서 말이다. 나는 왜 이렇게 되었나 나는 왜 이렇게 생각하게 되었나 그럴때 즈음 글애 난 결국 한편에 시가 필요 했고 한 줄 표현의 설레이는 가슴이 필요 했나 보다.

** 가난한 사랑 노래

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
너와 헤어져 돌아오는
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
가난하다고 해서 두려움이 없겠는가
두 점을 치는 소리
방범 대원의 호각 소리 메밀묵 사려 소리에
눈을 뜨면 멀리 육중한 기계가 굴러가는 소리
가난하다고 그리움을 버렸겠는가
어머님을 보고 싶소 수없이 뇌어보지만
집 뒤 감나무에 까치 밥으로 하나 남았을
새빨간 감 바람 소리도 그려보지만,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내 볼에 와 닿던 네 입술의 뜨거움
사랑한다고 사랑한다고 속삭이던 네 숨결
돌아서는 내 등 뒤에 터지던 네 울음
가난하다고 해서 왜 모르겠는가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 신경림, <가난한 사랑 노래 - 이웃의 한 젊은이를 위하여>

어려서 시가 다른 어떠한 것보다 좋았던 이유는 내가 서 있는 그 상태의 상황과 공간에 따라 같은 시는 나의 여러가지 감정을 어루만져 주었기 때문이다. 이 또한 그 당시에 느겼던 것과는 또 다른 눈물의 의미를 삼키게 하는 문구들이며 이제는 그 마지막 한 구정 "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 이란 구문이 지금 현 세대의 청춘들 그리고 나는 그러하지 않을 수 있나라는 생각들을 들게 한다. 어떠한가 공대생아 우리가 지금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진화하고 거기에 맞춰 가고 기술의 책들을 펼치는 것은 당장의 안식과 먹을 것을 갖다 줄지는 모르나 가슴속 깊은 곳에 나... 그리고 내가 결국 가야할 곳으로 안내하지 못한다. 그 때 우리가 잊고 지내던 아니 잊고 지내려 노력했던 그 거부감을 날려 버리고 함께 하지 않겠는가?

책의 마지막 구절에 이렇게 쓰여 있다. " 그러니 그만 이 책을 덮고 부디 시집을 펼치시라.
시를 잊은 그대여. " 진심으로 나 스스로에게 던지고 싶다. 시집을 펼쳐라 너를 잠시 잊었던 그대여 ..



** 2015. 11. 26 책을 처음 펴면서 남긴 느낌 
책의 서문에 이렇게 쓰여 있다 
" 의술, 법률, 사업, 기술, 이 모두 고귀한 일이고 생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이지만, 시, 아름다움, 낭만, 사랑, 이런 것이야말로 우리가 살아가는 목적이라고"   언제부터 공대생은 눈물을 흘리지 않았나? 아니면 알마나 주변의 공대생은 눈물을 안흘렸나. 눈물이 많은 나 공대생은 뭐란 말인가? 시를 잊고 살았다 어린시절 시 한편에 나의 생각과 함께 짧은 글들을 남겼던 기억을 되 집어 보며 생각해보면 그 순간이 나에겐 가장 빛나던 순간은 아니었나 싶다.   치열하게 살면서 문득 오늘 저녁에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지금 가슴을 울리는 일을 하고 있는가? 가슴을 울리는 삶을 살고 있는가? 내 가슴을 울리는 것은 그 어떤 좋은 이야기 였는가? 내 삶에 녹아 내린 그 어느 한 순간 이었는가?   어찌하였든 난 지금 눈물을 흘렸고 난 공대생이고 난 순간에 행복하다 느끼고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

[HTTP Server] Apache log file Management

Learn about the access_log, error_log file to reduce file size.


# Reduce the file size without rebooting the Apache daemon
[root@www01 ]# cat /dev/null > error_log
[root@www01 ]# cat /dev/null > access_log

# If you have to restart the Apache daemon
[root@www01 ]# rm -rf error_log
[root@www01 ]# rm -rf aceess_log

* Return the capacity was in use, only you need to restart Apache daemon on your system.



2015년 12월 8일 화요일

[MyStory] 누가 누가 똑같은가? 나는 누구인가.



누가누가 똑같은가.
무언가를 시작할때 우리는 때에 따라 어느 누군가를 또는 선생님을 때론 학교나 조직을 바라보며 따라하고 배워가며 나를 만들고 성장해 갑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의 지점에 다다르면 기본이되는것에 자신의 생각을 더해야 할 때가 오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고민은 시작됩니다. 나의 생각은 무엇인가? 어쩌면 그보다 도 근본적인 것에 답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나는 그때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습니다. 물론 아직도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과정 속에는 끊임없이 스스로를 다듬고 키워가는것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무것도 없이 그냥 무작정 기다리거나 피하거나 불만 투성인 삶은 스스로에게 어떠한 도움도 되지 않는 듯 합니다.그래서 나는 리더란 스스로가 자신을 찾아갈 수 있도록 흐르는 강물앞에 데려다 놓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바라볼수 있는 눈을 만들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것 말이죠.

때론 강물에 댐을 만들라고 지류를 만들어 물고를 틀어주라고 더 세게 흐르도록 바닥을 더 파라고 말해주는 사람이 있더라도 스스로는 흐르는 물의 그 안으로 더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때론 세차게 때론 유유히 그리고 때론 멈춰 있는것 처럼 보일 지라도

가슴으로 사람을 이해하고 가슴으로 사람을 배우고 싶습니다. 내 앞에 그 어떤 사람이 있더라도 말이죠. 아버지가 살아계실적 가장많이 하셨던 밀씀인 益者三友(익자삼우) 損者三友(손자삼우) 라는 말이 조금은 이해가 되는 지금입니다.


2015년 8월 10일 월요일

[Linux] DocumentRoot Directory error case by Apache 2.2 & CentOS 6.5

[root@localhost ~]# vi httpd.conf
................
#DocumentRoot  = "/var/www/html"
DocumentRoot = "/var/www/newDiretory"

DocumentRoot 설정 위치에서 변경 후 재시작 하는 경우 Directory 에러 날 때는 다음과 같이 내용을 추가적으로 수정

[root@localhost ~]# chcon -R -t httpd_user_content_t /var/www/newDiretory

#selinux 의 기능을 OFF

[root@localhost ~]# vi /etc/selinux/config

# This file controls the state of SELinux on the system.
# SELINUX= can take one of these three values:
#       enforcing - SELinux security policy is enforced.
#       permissive - SELinux prints warnings instead of enforcing.
#       disabled - SELinux is fully disabled.
#SELINUX=enforcing
SELINUX=disabled  # 기능 작동을 중단합니다

# SELINUXTYPE= type of policy in use. Possible values are:
#       targeted - Only targeted network daemons are protected.
#       strict - Full SELinux protection.
SELINUXTYPE=targeted


2015년 7월 3일 금요일

[불교] 합장과 절의 의미

열 손가락을 가지런히 하여 가슴 정중선을 향해 손바닥을 합치는 것을 합장이라고 한다.

합장이 왜 좋을까? 마음을 통일시키는 점도 좋고 양손을 합치면 흔히 호기(좋은 기)가 나오니 좋다. 합장은 경건하고 공손할 뿐만 아니라 진리를 참구하겠다는 결의이기도 해 발심의 불을 붙인다.

이렇게 합장하고 큰절을 하는데, 절을 할 때는 두 무릎을 구부리며 먼저 오른손을 놓고 다음 왼손을 짚어 그 사이로 이마를 닿게 한다. 그러나 우리 재가자는 가사를 입지 않으므로 두 무릎을 꿇은 다음 두손을 동시에 짚어도 무방하리라고 본다. 이때 발바닥은 왼쪽 발바닥을 오른쪽 발바닥 위로 X형으로 포개 놓는다. 이 때 주의할 점은 엉덩이를 치켜들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다음 손바닥을 뒤집어서 귀 높이로 올린다. 이것을 ‘접족례'라 한다. 부처님의 발을 내가 받드는 모습이니 존경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절을 세 번 한 뒤 마지막 절만큼은 접족례에서 머리 윗쪽으로 손바닥만 합치는 것을 고두배(叩頭拜)라 한다.

고두배란 두드릴 고자에 머리 두자를 쓰니 ‘머리를 두드린다’, ‘머리를 찧는다’, ‘부처님의 발에 끊임없이 머리를 조아리며 가피를 구한다’는 뜻이다. 고두배를 한 다음 다시 접족례를 하고 역순동작 으로 일어서서 반배까지를 하게 된다.

합장과 큰절은 불교의식의 기본에 해당한다. 큰절을 일명 오체투지라 하는데 두 팔꿈치, 두 무릎, 그리고 머리까지 땅에 닿게 하여 신체의 다섯 부분이 다 땅에 닿는다는 말에서 비롯됐다.

법연 선사는 20년간 사력을 다해 공부하고 보니 비로소 자신이 부끄러운 줄 알았다고 했고 성철스님은 기자들이 묻는 질문에 ‘나는 못난 사람’이라며 스스로를 낮추는 하심의 모습을 보여 주셨다. 오체투지는 육신의 낮춤을 통해 마음을 낮추는 행이므로 절을 통해 하심의 도리를 자각해야 한다.

부처님전에서 큰절은 3배를 하는데 이는 삼보인 부처님께, 가르침에, 승가(사부대중)에 각각 절을 올리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스승님(스님, 법사)에게는 1배가 좋다.

법당에 들면 맨 먼저 부처님께 반배를 올리고 3배를 올리기 전 법단 향합(향을 꼽는 통)에서 향을 뽑는데 향을 잡을 땐 향 가운데를 잡는다. 그리고 뽑아든 향을 촛불에다 붙일 때 왼손으로 오른손을 받쳐든다. 이어 향을 이마 높이까지 올려서 마음 속에서 “부처님 올립니다.”라고 말한 다음 향로에 꼽는다. 이것이 향 공양의 방법이다.

보통 법당에선 향공양을 올리고 3배를 하는 것이 기본 절차다. 불자들이 올리는 공양물은 여섯가지가 있는데 앞서 말한 향공양 등공양, 꽃, 과일, 다공양, 미공양이 그것이다. 이것을 육법공양이라고 한다. 다 한결같이 예경과 베품의 실천이며 그 내용에 따라서 과복을 받는 인과를 중시한다.

2015년 4월 13일 월요일

[Linux] httpd Service Config - Memo

# httpd -v
# httpd 2.2.14

# php -v
# php 5.3

# chcon -R -t httpd_user_content_t /home/mfg

# vi /etc/selinux/config
#SELINUX=enforcing
SELINUX=disabled
SELINUXTYPE=targeted



ServerName app.madforgarlic.com
ServerAdmin mfg@madforgarlic.com
DocumentRoot "/home/mfg/www"
Alias /media "/home/mfg/media"
<Directory />
 Option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FileInfo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 Oracle Client
rpm -ivh oracle-instantclient11.2-basic-11.2.0.4.0-1.x86_64.rpm
rpm -ivh oracle-instantclient11.2-devel-11.2.0.4.0-1.x86_64.rpm


## PHP 컨피그 설치 다시

** DB Pool 정보 확인
https://github.com/jjang9b/CodeIgniter_sqlrelay

[Linux] Basic Command - tar


[root@test /]> tar cvf  FileNames.tar FolderNames[root@test /]> tar cvfz FileNames.tar.gz FolderNames[root@test /]> tar cvfz FileNames.tar FolderNames

[root@test /]> tar xvfz FileNames.tar.gz
[root@test /]> tar xvf FileNames.tar

언제 부터 였던가 생각해보니 아르바이트 겸 외부 컨설팅을 의뢰 받고 맥북 프로를 처음 써봤을 때 부터 였던 것 같다. 지금은 거의 대부분의 작업을 맥으로 작업을 하다 보니 윈도우에서만 실행되는 일부 프로그램들 때문과 회사 내부 ERP프로그램이 윈도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