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tch 의 종류 및 기능
Network에서 L2, L3, L4… Switch를 구별하는 것은 OSI 7Layer중 어느 Layer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OSI 7Layer를 먼저 간단히 살펴 보고, Switch에 대해 살펴 보겠다.
1.OSI 7Layer
1) Layer 1 (Physical Layer)
1) Layer 1 (Physical Layer)
- 데이터의 정보를 전기적인 Volt로 변환하여 매개체를 통해 상대방의 수신 장치로 전송
- 장비: Hub, Repeater, Transceiver
2) Layer 2 (Datalink Layer)
- 모든 네트워크의 연결 지원
- 장비: Ethernet, ATM, X.25 등
- PDU: Frame (상위계층으로 받은 데이터를 해당 단위로 나눔)
3) Layer 3 (Network Layer)
- IP주소, 즉 논리적 주소를 가지고 발신지로부터 최종 목적지까지 경로 결정
- 장비: Router, L3 switch
- PDU: Packet (상위계층으로 받은 데이터를 해당 단위로 나눔)
- 프로토콜: IP, ARP, ICMP, IGMP
4) Layer 4 (Transport Layer)
- 데이터 전송
- 장비: L4 switch
- PDU: Segment (상위계층으로 받은 데이터를 해당 단위로 나눔)
- 프로토콜: TCP, UDP
5) Layer 5 (Session Layer)
- Session 확립. App. 간의 연결 유지 및 데이터 전송 제어
6) Layer 6 (Presentation Layer)
- 네트워크 자원을 호출하여 응용프로그램 영역인 Appliaction 계층으로 전달 (API)
- Application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컴퓨터가 이해가능한 format으로 변환
7) Layer 7 (Application Layer)
- End-User가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 인터페이스 계층
- 프로토콜: HTTP, FTP, SMTP, DNS, RIP, SNMP
2. Switch
1) Switching 기능
- L1 -> Flooding
- L2 -> Switching
- L3 -> Routing
- L4 -> port number 이용 트래픽분산처리 (Load balancing)
- L7 (cisco 6500이상 장비) -> S/W 를 장치에 올려서 Traffic filter , Security, VPN 를 할수 있다.
- L5, L6 ? TCP/IP 기반이기때문에 L7이 L5~6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2) Switch 장비는 스위칭 방식에 따라 크게 3 종류로 나눌 수 있다.
2-1) Address 를 인식하여 해당 장비로 Packet 전송
- L2 Switch: MAC Address
- L3 Switch: IP Address
2-2) Port에 따라 해당 장비로 Packet 전송
- L4 Switch: TCP, UDP 포트(HTTP, FTP, Telnet etc.) 를 분석하여 packet을 처리함.
2-3) Packet의 내용을 읽고 해당 장비로 Packet 전송
- L5 Switch
- L6 Switch
- L7 Switch: 트래픽 내용(e-mail제목/문자열, HTTP URL, 쿠키 정보
etc.) 패턴을 분석하여 packet을 처리함.
▶ 과거에는 통상적으로 패킷의 MAC Address나 IP Address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L2/L3제품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 이후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인터넷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트래픽을 분산하고 지능적인 트래픽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L4스위치가 등장하였다. L4스위치는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의 가용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3) SAN (Storage Area Network) Switch
SAN은 스토리지 시스템을 연결해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 전용 LAN을 별도로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LAN이 Local Area Network의 약자인 점에 주목한다면 SAN역시 스토리지 시스템끼리 연결해 놓은 자체 네트워크 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별도의 데이터 전달 통로를 통해 스토리지시스템에 액세스 하기 때문에 일반 네트워크 소통량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신속한 데이터 액세스가 가능하다. 이 방식은 이기종 플랫폼에 대해 중앙 집중식 스토리지 풀 공유가 가능하고 하드웨어 프로토콜을 이용해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스토리지 트래픽 처리를 위한 별도의 전용 네트워크가 갖추어져 있을 뿐 아니라 여러 대의 서버와 스토리지 어레이를 연동하기 쉽다는 점에서 확장성이 높고 투자 회수 효가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이때 시스템과 스토리지 사이에 연결 역할을 해주는 것이 SAN Switch 이다.
참고 :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ljssemam/70014989243